
p. 15 비즈니스 모델이란 용어는 개인용 컴퓨터와 스프레드 시트가 등장하면서 널리 사용되었다. 스프레드 시트를 사용하면서 훨씬 더 분석적으로 계획에 접근할 수 있었다. 즉,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가정과 손익 추정을 연결함으로써,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비즈니스를 모델화할 수 있게 되었다. p.17 당초 기대했던 결과에 도달하지 못하면, 유로 디즈니가 했듯이 모델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비즈니스 모델링은 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경영관리라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 출발하여 실제로 시험한 뒤, 필요할 때마다 수정을 거쳐야 한다. p. 20 계획 도구로서 비즈니스 모델이 갖고 있는 훌륭한 강점은 시스템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가 사업운영에 과연 적합한지 판단하게끔 한다는 것이다. p.21 그러나 비..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 설계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비즈니스 모델 설계는 스타트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인으로 창업 교육과 멘토링의 단골 주제다. 오스터왈드가 만든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사업 모델의 세부 구성 요소가 무엇이고, 각 요소들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한눈에 보여주는 프레임워크다. 하지만 실제 사업 모델의 설계 과정을 설명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해 맥도날드와 아이젠하트 교수는 5개의 사례를 연구하며 어떻게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해야 스타트업이 성공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두 교수의 연구 내용을 DBR 314호에 실린 기사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성공한 스타트업은 벤치마킹 대상…대기업은 경쟁사 실패한 스타트업은 유사 스타트업을 경쟁사로 인식하고 이들과 차별화된 비즈니스 ..